2025년 7~8월 여름 제철 해산물 완벽 정리!
동해·서해·남해 바다별 특산물 안내
여름은 바다 생물이 풍성한 계절입니다.
특히 7월과 8월은
동해, 서해, 남해에서 제철을 맞이한 다양한 해산물이 잡히며,
이 시기의 수산물은 맛과 영양이 최고조에 달합니다.
제철 해산물을 잘 알고 소비하면
신선도 좋은 수산물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건강에도 이롭고 지역 특산물 소비를 통해 지역경제에도 도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동해, 서해, 남해로 구분하여
7~8월 여름철에 꼭 먹어야 할 해산물들을 상세하게 안내드립니다.
■ 동해: 찬 바다에서 자란 깊은 맛의 해산물
동해는 수심이 깊고 수온이 낮아
생선의 살이 단단하고 쫄깃한 것이 특징입니다.
여름에도 일정한 저온이 유지되어 고급 어종이 많이 잡힙니다.
▶ ① 오징어 (제철: 7~10월)
- 여름이 되면 속초, 울진, 삼척 등 동해안 지역에서는 밤마다 오징어잡이 배의 불빛이 바다를 가득 채웁니다.
- 육질이 쫀득하며 마른오징어, 오징어회, 오징어숙회 등 다양한 요리로 활용됩니다.
▶ ② 도루묵 (제철: 여름 산란기 도래 전)
- 원래 겨울철에 많이 소비되지만, 7~8월엔 알을 배기 전 살이 통통하게 오르는 시기로도 알려져 있음.
- 구이나 찜 요리로 담백한 맛을 즐길 수 있습니다.
▶ ③ 미역귀, 다시마 (채취기: 6~8월)
- 울릉도와 동해안의 깊은 바닷속에서 자란 자연산 다시마는 여름이 마지막 채취기입니다.
- 건강식품으로 각광받으며, 미역귀는 콜라겐이 풍부해 피부미용에도 좋습니다.
▶ ④ 홍합 (자연산: 여름이 가장 크고 맛있음)
- 양식보다 자연산 홍합은 여름에 제철을 맞으며, 된장국, 파스타, 찜 등 다양하게 활용됩니다.
※ 동해에서는 회나 숙회로 즐기기 좋은 어종이 많으며,
신선한 날 것을 좋아하는 분께 특히 추천드립니다.
■ 서해: 갯벌이 키운 향긋한 바다 맛
서해는 넓은 갯벌과 완만한 수심이 특징입니다.
조개류와 게류, 갑각류가 풍부하게 서식하며,
여름철에는 특히 맛이 깊고 시원한 수산물이 많이 잡힙니다.
▶ ① 백합 (제철: 6~8월)
- 서해 갯벌에서 자란 백합은 살이 통통하고 부드러우며, 백합죽, 백합탕으로 많이 즐깁니다.
- 전북 고창, 충남 보령, 서산 등이 대표 산지입니다.
▶ ② 참조개 (참맛조개, 제철: 6~9월)
- 탕, 구이, 찜으로 즐기며 조개의 깊은 단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충남 태안, 전북 군산 등에서 많이 잡힙니다.
▶ ③ 박하지 (참게류, 제철: 여름 한철)
- 박하지는 간장게장의 주재료로 유명한 참게입니다.
- 알이 꽉 찬 암게는 7~8월에 가장 맛있어 간장게장으로 담가두면 밥도둑이 따로 없습니다.
▶ ④ 낙지 (제철: 7~9월)
- 연안에서 잡히는 살아있는 낙지는 회, 볶음, 탕, 숙회 등 다양하게 요리됩니다.
- 특히 전라북도 고창, 부안 지역의 갯벌낙지는 품질이 뛰어나기로 유명합니다.
※ 서해산 해산물은 대부분 단백질과 미네랄이 풍부하며, 장 건강, 면역력 개선에 도움을 줍니다.
■ 남해: 따뜻한 바다에서 자란 부드럽고 담백한 수산물
남해는 수온이 따뜻하고 유속이 빠른 곳이 많아,
해산물이 육질이 부드럽고 단맛이 강한 특징이 있습니다.
▶ ① 전복 (제철: 6~8월)
- 산란기를 앞둔 여름 전복은 살이 꽉 차고 영양가가 풍부합니다.
- 미역국, 버터구이, 회 등으로 섭취 가능하며, 강장 효과가 뛰어나 여름 보양식으로 인기가 높습니다.
▶ ② 멍게 (제철: 6~8월)
- 경남 통영, 거제 일대에서 잡히는 멍게는 특유의 향과 바다 내음으로 미식가들의 사랑을 받습니다.
- 멍게비빔밥, 멍게회 등으로 즐기며 단백질, 비타민 B12, 아연 등이 풍부합니다.
▶ ③ 성게 (제철: 7~8월)
- ‘바다의 우유’라고 불릴 만큼 고단백·고영양 해산물입니다.
- 성게알은 밥과 함께 먹거나 초밥, 죽 등으로 요리되며 경남 남해, 여수, 완도에서 많이 잡힙니다.
▶ ④ 붕장어(아나고, 제철: 7~9월)
- 구이로 즐기는 대표 여름 수산물로, 남해안 장어는 지방이 적당히 분포되어 부드럽고 고소한 맛이 특징입니다.
- 여름철 체력 보충용 식품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 남해 해산물은 부드러운 맛과 뛰어난 보양 효과 덕분에 여름철 기력 회복용 식품으로 좋습니다.
■ 제철 해산물 구매 팁과 보관 방법
▶ ① 구매 팁
- 새벽시장 또는 온라인 산지직송 플랫폼 이용 (ex. 우체국쇼핑, 수협바다마트)
- 생물이 탱탱하고 색이 선명한 것, 냄새가 심하지 않은 것이 신선한 것의 기준입니다.
▶ ② 보관법
- 조개류: 해감 후 소금물에 담가 냉장 보관 (2~3일 이내)
- 어패류: 손질 후 비닐 포장해 냉동보관 (2주 내 소비)
- 해조류: 삶아서 소분 냉동 보관 (3개월 가능)
■ 여름 해산물, 건강과 입맛 모두 잡는 최고의 선택
7~8월 여름철은 바다의 식탁이 가장 풍성해지는 시기입니다.
동해의 담백한 생선, 서해의 조개와 갯벌 해산물, 남해의 고단백 보양 해산물까지,
지역 특색에 맞게 즐기면 영양은 물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됩니다.
제철에 맞는 해산물을 현명하게 선택하고 요리한다면,
무더운 여름도 건강하게 이겨낼 수 있을 것입니다.

'정보 >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잡(겸직)할 때 4대보험 중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두 배로 쌓일까? (1) | 2025.07.31 |
---|---|
상여금 뜻과 계산 방법 (별도지급, 연봉에 포함 차이 / 120%·300% 지급 예시) (3) | 2025.07.31 |
2025년 9~10월 제철 해산물 완벽 정리! 동해·서해·남해 특산물 총정리 (7) | 2025.07.23 |
울산 근교 계곡 여행 완벽 가이드! (2025 여름·가을 피서 명소 추천 리스트) (5) | 2025.07.23 |
여름철 아이와 함께 먹기 좋은 제철 해산물 요리 7가지 추천 (5) | 2025.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