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여금 뜻과 계산 방법, 120%·300% 지급 예시 + 2025년 최저시급 기준
직장인이라면 채용공고에서 자주 보는 문구가 있습니다.
“연봉 O천만원(상여금 별도)”
또는 “상여금 300% 지급” 같은 표현이에요.
하지만 이게 정확히 무슨 뜻인지, 내 연봉에는 어떻게 반영되는지 헷갈릴 수 있죠.
이번 글에서는 상여금의 의미와 계산 방법을
구체적인 예시(120%, 300%)와 함께 알려드리고,
2025년 최저시급 기준으로 계산한 사례까지 보여드릴게요.
■ 상여금이란?
▶ 정의
상여금은 회사가 기본급 외에 추가로 지급하는 금액을 말합니다.
흔히 ‘보너스’라고 불리며,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경우와 회사 실적·개인 성과에 따라 지급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지급 시기
- 명절(설·추석)
- 분기별, 반기별, 연말
- 성과급 형태
▶ 형태
- 정기상여금 : 계약서·취업규칙에 명시된 고정 지급금
- 성과상여금 : 실적에 따라 변동 지급금
■ “상여금 120%”의 뜻과 계산 예시
채용공고에 “상여금 120%” 라고 적혀 있다면,
기본급의 1.2배에 해당하는 금액을 1년에 상여금으로 준다는 뜻입니다.
예시 :
- 기본급(월급) : 2,090,000원
- 기본급 100% = 2,090,000원
- 기본급 120% = 2,090,000 × 1.2 = 2,508,000원
즉, 1년에 약 250만 원의 상여금을 받게 됩니다.
▶ 연봉 계산
- 기본급 연봉 : 2,090,000 × 12 = 25,080,000원
- 상여금 : 2,508,000원
- 총 연봉 : 27,588,000원
■ “상여금 300%”의 뜻과 계산 예시
상여금 300%는 기본급의 3배를 상여금으로 준다는 뜻입니다.
보통 명절과 연말 등에 나눠서 지급합니다.
예시 :
- 기본급(월급) : 2,090,000원
- 기본급 100% = 2,090,000원
- 기본급 300% = 2,090,000 × 3 = 6,270,000원
▶ 연봉 계산
- 기본급 연봉 : 2,090,000 × 12 = 25,080,000원
- 상여금 : 6,270,000원
- 총 연봉 : 31,350,000원
그런데,
반대로 이런 경우는 어떨까요?
상여금이 연봉에 포함되는 경우입니다.
■ 상여금 120% 포함 연봉 3,000만 원 계산 예시
채용공고에서 “연봉 3,000만 원(상여금 120% 포함)”이라고 적혀 있다면,
이 금액 안에 이미 상여금이 포함된 상태라는 뜻이에요.
즉, 기본급만으로 3,000만 원이 아니라, **기본급 + 상여금 120%**가 합쳐져서 3,000만 원이 된 거죠.
- 연봉 총액 = 30,000,000원
- 상여금 비율 = 기본급 × 1.2
- 식 :
기본급 × 12개월 + (기본급 × 1.2) = 30,000,000
이를 풀면
- 기본급(월급) ≈ 2,225,000원
- 기본급 연봉(12개월) = 약 26,700,000원
- 상여금(연 120%) = 약 2,670,000원
- 합계 = 약 30,000,000원
즉, 월급으로만 보면 약 222만 원 수준이고,
명절이나 연말에 상여금이 추가로 지급되어 최종 연봉이 3,000만 원이 되는 구조입니다.
그렇다면
연봉 3000만원이지만 상여금 120%가 별도로 지급되는 경우는 어떨까요?
■ 연봉 3,000만 원 + 상여금 120% 계산 예시
전제
- 연봉 3,000만 원 = 기본급(월급) × 12개월
- 상여금은 연봉 3,000만 원 안에 포함되지 않고 별도로 지급됨
- 상여금 비율 = 기본급의 120%
계산
- 기본급(월급) = 30,000,000 ÷ 12 = 2,500,000원
- 기본급 100% = 2,500,000원
- 기본급 120% = 2,500,000 × 1.2 = 3,000,000원 (연간 상여금)
총 연간 수령액
- 기본급 연봉 : 30,000,000원
- 상여금 : 3,000,000원
- 합계 = 33,000,000원
월급에는 약 27만원, 연봉에서는 약 300만원 차이가 나는 금액입니다.
■ 상여금 지급 시 주의할 점
- 매달 받는 월급에 포함되지 않음 → 명절·연말에 일시 지급
- 회사 실적 부진 시 지급이 줄어들거나 미뤄질 수 있음
- 고정 지급인지 성과에 따른 변동 지급인지 확인 필수
■ 결론
상여금은 기본급 외에 지급되는 추가 소득입니다.
120%는 기본급의 1.2배, 300%는 3배를 연간 지급한다는 뜻이며,
연봉 협상 시 기본급 + 상여금 + 각종 수당을 합산해서 실제 금액을 계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보 >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철 별미 초간단 "냉라면" 맛있게 만드는 법과 꿀팁 (6) | 2025.08.01 |
---|---|
투잡(겸직)할 때 4대보험 중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두 배로 쌓일까? (1) | 2025.07.31 |
2025년 9~10월 제철 해산물 완벽 정리! 동해·서해·남해 특산물 총정리 (6) | 2025.07.23 |
울산 근교 계곡 여행 완벽 가이드! (2025 여름·가을 피서 명소 추천 리스트) (5) | 2025.07.23 |
여름철 아이와 함께 먹기 좋은 제철 해산물 요리 7가지 추천 (5) | 2025.06.18 |